주기철목사 기념사업회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蘇羊 주기철
"누가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으리요
환난이나 곤고나 핍박이나 기근이나 적신이나 위험이나 칼이랴"
로마서 8장 35절

소양주기철

ABOUT JU GI-CHEOL

소양주기철
주기철(1897. 11. 25 ~ 1944. 4. 21)

주기철목사는 1897년 11월 25일 경상남도 창원군 웅천면 북부리_현재 진해구 웅천 1동 에서 주현성 씨의 4남 3녀 중 넷째아들로 태어났다. 아명은 기복, 호는 소양이다. 집안 어른이신 주기효가 세운 개통학교와 1916년 오산 중학교를 졸업하고 연희전문학교_현재 연세대학교 를 중퇴했다. 1922년 평양 장로회신학교에 입학해 1925년 경남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1926년 부산 초량교회에 부임했으며, 1931년 마산 문창교회에서 부임해서는 신앙운동과 계몽운동을 벌였다. 1936년 10에는 평양 산정현교회에서 목양하던 중 일제가 신사참배를 강요하자 이를 결사적으로 거부하며 신사참배 운동에 앞장섰다. 이로 인해 1938년 체포되어 황실불경죄〮치안 유지법 위반이란 죄목으로 징역 10년형을 선고 받고 평양형무소에서 복역 중 일제의 잔혹한 고문으로 순교했다. 1963년 대한민구건국공로훈장에 추서되었다.

연보 자세히 보기

기념사업회

ABOUT Foundation

항일독립운동가 주기철목사 기념사업회 Minister Ju Gi-cheol

사단법인 주기철목사 기념사업회는 주기철목사의 기독교 신앙의 순교정신과
바른 나라사랑 정신을 기리며 이를 전승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일사각오 순교신앙을 이어갈 국내 목회 및 해외 선교사역을 감당할 인재양성을 노력하고 있습니다.
(교단별 성적우수한 신대원생, 홀사모 자녀, 다문화가정자녀, 해외 신학교등)

후원 및 문의

Support & Contact Us

보내 주시는 후원금은 장학기금으로 적립됩니다.
아래 입금계좌로 후원금을 보내 주시면 연말 정산 때 ‘기부금 납입증명서’를 보내 드립니다.
후원 후 문의남겨주시면 담당자가 연락 드리겠습니다.

제일은행
  • 계좌번호 SC제일은행 605-20-147268
  • 예금주 사단법인주기철목사기념사업회
신한은행
  • 계좌번호 신한은행 110-286-801915
  • 예금주 주승중 (사)주기철목사기념사업회
주기철목사 연보(1897. 11. 25 ~ 1944. 4. 21)
1897. 11. 25 경남 창원군 웅천면 북부리에서 아버지 주현성과 어머니 조재선 사이의 넷째아들로 태어남
1906. 아명 기복으로 웅천 개통학교 입학
1910. 12. 25 웅천 장로교회에서 입교
1912. 개통학교 고등보통과 졸업
1913. 3. 정주 오산학교 입학
1913. 이름을 기철로 개명, 여강이란 호를 사용하기 시작
1916. 3. 23 오산학교 졸업
1916. 3 연희전문학교 상과 입학
1916. 가을 안질로 연희전문학교 중퇴. 웅천에서 지냄
1917. 웅천에서 교남학회 조직
1917. 안갑수와 결혼
1919. 집사 피택
1919. 10. 25 장남 영진 출생
1921. 12. 13 경남노회에서 신학입학생으로 시취
1922. 3. 평양장로회신학교 입학
1922. 11. 5 차남 영만 출생
1922. 경남 양산교회 전도사(1925. 9월까지). 조용학 만남
1925. 1. 9 3남 영묵 출생
1925. 가을 평양장로회신학교 졸업
1925. 10. 15 서울에 조선신궁 건조
1925. 12. 30 경남노회에서 목사 안수
1926. 1. 10 부산초량교회 담임목사
1927. 11. 13 4남 영해 출생
1928. 7. 3남 영묵 병사
1930. 3. 5 장녀 영덕 출생. 초량교회 제기회록 비치하기로 함
1931. 여름 경남노회 신사참배 반대 결의 주도
1931. 6. 28 초량교회 사임
1931. 7 마산 문창교회 부임
1932. 3. 18 4남 광조 출생(3남 병사로 광조가 4남이 됨)
1932. 9. 17 평양 서기산에서 전몰장병 위령제에 일제, 한국교회학교의 참배 강요
1932. 9. 예수교장로회 총회, 신사참배 반대결의, 총독부에서 교섭케 함
1933. 5. 16 부인 안갑수 병서
1934. 여름 부친 주현성장로 서거
1934. 9 <죽음의 준비> 설교
1935. 4 총독부 정무총감 이마이, 학생들의 신사참배 필수 확인
1935. 5 금강산 목사수양회에서 <예언자의 권위> 설교
1935. 여름 오정모여사와 속현
1935. 9 평양장로회신학교 사경회에서 <일사각오> 설교
1935. 11 평양숭실전문학교 맥 교장과 숭의여학교의 스누크 교장대리 신사참배 강요받음
1936. 조선사상보호 관찰령 발효
1936. 7 선교사들, 신사참배 강요로 교육인퇴 논의
1936. 7 마산 문창교회 사임
1936. 7 평양 산정현교회 부임
1936. 8 미나미 조선총독 부임. 신사참배 강요. 정책강행 다짐
1937. 2 남장로교 선교부 교육인퇴 결의
1937. 3 산정현예배당 신축 위한 설교 <많이 준 자에게 많이 취한다>
1937. 3 평양3승(숭실전문 숭실중 숭의여고) 인도계약
1937. 9. 5 신축 산정현교회당 입당예배
1938. 2. 8 산정현교회 헌당예배
1938. 2. 9 평북노회(노회장 김일선) 신사참배 결의. 평양신학교 학생 장홍련 등 김일선 기념식수목 도끼로 찍다. 이 사건에 연류되어 1차 구속
1938. 3 교육의 철저한 황민화정책을 위한 조선교육령 개정발효
1938. 3. 16 미국 북장로교 선교부 교육인퇴 확인
1938. 5 주기철 석방
1938. 5 친일적인 조선기독교연합회 서울에서 결성
1938. 6. 8 전북노회 신사참배 가결
1938. 6 전남노회 신사참배 가결
1938. 6 주기철, 이유택, 김화식 묘향산 단군굴에서 금식기도
1938. 6. 30 일본기독교회 의장 도미타 평양에 도착. 산정현교회에서 교계지도자 간친회 갖고 신사참배의 국민의례성 강조
1938. 7 평양, 평서, 안주, 황해노회에서 신사참배 가결
1938. 8 농우회사건 연류로 제2차 검속
1938. 9 조선예수교 연합공의회 해산
1938. 9. 2 경안노회 신사참배 가결
1938. 9. 10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 신사참배 가결
1938. 10 북장로교 현지(조선) 선교부, 평양 내외 및 서울의 연희, 세브란스, 정신폐쇄 결의, 평양장로회 신학교 폐쇄
1938. 10. 17 시국대처 기독교장로회대회 개최
1939. 2 주기철 석방. 대구경찰서에서 평양에 돌아옴
1939. 2 돌아오는 날 산정현교회에서 <5종목의 나의 기도> 설교
1939. 3 일본제국의회 종교단체법 통과
1939. 9 박관준, 안이숙 일본의사당 투서사건 및 한상동, 이기선 등의 신사참배 반대운동과 연루 검거, 제3차 구속
1939. 10 산정현교회 경찰 압력불구 신사참배에 완강히 저항
1939. 11. 3 경찰, 산정현교회 주기철 경질 요구
1940. 3. 25 경찰, 산정현교회 폐쇄
1940. 4. 20 주기철 석방
1940. 6 한상동, 손양원, 주남선 등 신사참배 반대로 구속
1940. 9 위 사건과 연루시켜 주기철 검거, 제4차구속, 그의 최후의 구속
1941. 3. 23 평양노회(노회장 최지화)주기철의 목사직 해직.
장운경 산정현 당회장으로 부임, 교인들 저항
1941. 3 경찰, 산정현교회 및 그 목사 사택 패쇄. 주목사 가족을 추방
1944. 4. 12 주기철 형무소의 병감에 이감
1944. 4. 20 오정모, 마지막 면회
1944. 4. 21 밤9시 순교
1944. 4. 25 장례식 후 평양 돌박산 기독공원에 안장
1947. 1. 27 오정모 사모 유암으로 별세
1963. 3. 1 대한민국 정부에서 주기철목사에게 건국공로훈장 추서
1968. 6. 7 대한민국 국립묘지(동작동) 순국선열 묘역안장
닫기
  • 대표 : 주승중
  • 고유번호 : 214-82-15321

Copyright 2021 주기철목사 기념사업회. All Rights Reserved.